본문 바로가기

실종아동 배너

다음 블로거 여러분! 실종자 찾기 배너 광고 답시다! 다음 블로거 여러분! 실종아동, 실종노인 광고 답시다! 애드클릭스 공익광고, 다음 블로그에 적용되다! 꿈★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믿기 힘든 일이 자꾸만 일어나고 있다. 이정도 되면, 내가 내 뺨을 몇번이고 때려도 미쳤다고는 못할 것이다. 블로그에 광고를 게재해서 돈을 버는 Daum 애드클릭스(http://adclix.daum.net/) 에 실종아동/실종 노인 배너가 지원된다는 것은 이미 여러개의 글을 통해서 알린바 있다. [ 실종아동 찾기 연재 기사] 중에서 애드클릭스 관련 기사 (2) 효과적인 실종 아동 찾기 시스템 제안 -> 여기서 애드클릭스에 제안을 했다 (2007.3.30) (6)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아동 배너 기능 넣어 - 꿈★은 이루어졌다 (2007.5.8) (9)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 아.. 더보기
실종 어르신 찾기 기능 넣은 Daum 애드클릭스! 실종 어르신 찾기 기능 넣은 Daum 애드클릭스! 장하다! 실종아동 공익광고에 이어 실종 어르신 찾기 기능 넣어 블로그 등에 광고를 글 내용과 비슷한 (때로는 무관한) 광고를 게재하고, 클릭을 한 만큼 블로거에게 돈을 주는 광고 프로그램인 "다음 애드클릭스 http://adclix.daum.net/ ". 이미 저번 기사에서 알렸듯이,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아동 배너 기능 넣어 - 꿈★은 이루어졌다 2007.5.8 한글로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 아동 데이터 팍 늘었다! 2007.5.23. 한글로 이렇게, 공익적인 배너를 다는 기능을 넣은 바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실종아동 뿐만 아니라, 실종 어르신 (실종 노인)의 광고까지 넣기로 했다는 발표가 났다. 아니나 다를까, 내 tistory 블로그에도 일정 비율.. 더보기
복지부 실종아동 배너는 숨은 그림 찾기? 복지부 실종아동 배너는 숨은 그림 찾기? - 잘 보이지 않는 곳에 배치한데다 - 실종자를 찾기보다 기관홍보에 치우쳐 - 한 달에 3명만 찾는 이상한 방식 실종아동 관련 기사를 읽어보세요 며칠전에는 보건복지부 실종아동전문기관이 주최한 제1회 실종아동의 날이란 행사가 있었고 그 덕분에 각종 신문에 실종아동을 찾아야 한다는 기사가 많이 나왔다. 그 중에서 신기할만큼, 내가 여태까지 주장했던 내용을 거의 다 담은 (주장도 같은) 복지부 출입 기자의 기사가 있기에 먼저 소개하고자 한다. 참고기사 기관마다 따로…실종 아동찾기 시스템 ‘실종’ 서울신문 2007.05.26 다 읽으셨으면, 분명히 화가 날 것이다. 주먹을 불끈쥐고 흥분을 해야 정상이다. 하지만, 화는 지금부터가 진짜다. 복지부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 더보기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 아동 데이터 팍 늘었다!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 아동의 데이터 팍 늘었다! 현재 찾아야 할 실종아동 거의 전부의 데이터 확보 2주일에 10명 노출 -> 현재 찾고 있는 110명 모두 노출 지난 2007년 5월 8일, 다음 애드클릭스(http://adclix.daum.net/) [블로그에 광고를 노출시켜서 사용자가 클릭 할 경우에 블로그 주인에게 일정 광고료를 지급하는 광고 프로그램]는 "실종아동 배너" 기능을 넣었다. 다음으로서는 아무 돈도 되지 않는 "공익 광고"를 넣은 것이다. 그리고 그 사실을 아래 블로거뉴스 기사를 통해서 알린 바 있다.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아동 배너 기능 넣어- 꿈★은 이루어졌다 2007.5.8 나의 첫 제안글 [효과적인 실종 아동 찾기 시스템 제안] 이 2007년 3월 30일에 쓴 것이니, 겨우 1달 .. 더보기
국가복지정보시스템에도 실종아동 배너 달렸다 국가복지정보시스템에도 실종아동 배너 달렸다 - 2000여개 복지시설 대상 실종자 찾기 네트워크 구축 첫걸음 - 실종아동 찾기 배너의 취약점? - 실종자는 모두 복지 시설에 있다? 이미 많은 글을 통해서 알렸듯이, 다음 애드클릭스와 태터툴즈, 티스토리 등에서 실종아동 찾기 배너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은 대단한 일이다. 그래서, 많은 블로거들이 자발적으로 "돈은 안되지만, 뿌듯한 보람은 얻는" 이 일에 참여를 하고 있고, 앞으로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일을 추진하면서 댓글에 달린 아래와 같은 '투덜거림'에는 나 조차도 딱히 답이 없었다. "잃어버린 아이들이나 실종자는 모두 복지시설에 들어가 있을텐데, 일반인들이 맨날 사진만 본다고 무슨 소용이냐?" 그렇다. 정상적인 과정을 거쳤다.. 더보기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아동 배너 기능 넣어 - 꿈★은 이루어졌다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아동 배너 기능 넣어 꿈★은 이루어졌다 실종 아동 찾기 시스템, 꿈★이 이루어졌다 - 다음 애드클릭스, 실종아동 배너 기능 추가 2007년 5월 8일. 어버이날이기도 하지만, 이 날은 나에게 엄청난 의미가 있는 날이다. 이미 연재 기사를 통해서 끊임없이 실종 아동 찾기의 문제점과 새로운 방식들을 이야기해오고 있었으며, 그 작은 이야기가 "복지부 사이트도 바뀌게 했다는 소식"은 이미 지난 글에서 알려드렸다. ((5) 실종아동찾기 사이트의 작은 변화 - 더 쉬운 용어로 바꿔) 그런데... (2) 효과적인 실종 아동 찾기 시스템 제안 이란 글에서 제안한, "포털의 광고 시스템"이 드디어 구축된 것이다. ▲ 실종 아동 찾기 시스템 개선도 바로, '다음 블로거뉴스'의 담당자가 위의 시스템을 D.. 더보기